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윈도우11설치usb
- 키보드로볼륨조절
- 윈도우11fTPM
- TPM메인보드
- 시놀로지
- TPM윈도우11
- 스위치
- 윈도우
- 스위치게임패드
- 시놀로지VPN
- TPM2.0활성화
- WebDAV
- P11PLUS
- TPM우회설치
- 스위치게임설치
- 윈도우11TPM우회
- p11
- 윈도우11
- 윈도우11iso설치
- 윈도우11설치
- 키보드로음량조절
- 윈도우10
- 키보드음량
- 스위치패드추천
- 닌텐도스위치
- 키보드로볼륨
- P11플러스
- 키보드로사운드조절
- 윈도우11refus
- 편한볼륨조절
- Today
- Total
목록스위치 (3)
회색빛 게임,IT 고을

닌텐도 스위치는 휴대모드로 만들어진 게임기 이다. 그리고 플스나 엑박에 비해 매우 소형으로 만들어진 게임이다보니 발열에도 취약점을 드러낸다. 그래서 닌텐도에서는 스위치에 쓰인 테그라 x1칩셋의 원래 성능을 제한함으로 발열을 줄여 쓰로틀링 현상을 줄이고, 휴대모드시 배터리 소모를 줄여 사용시간을 늘리는 방법을 택했다. 테그라x1 칩셋의 기본 클럭 성능은 CPU : 1785Mhz GPU : 921Mhz RAM : 1600Mhz 의 클럭 속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스위치 적용 클럭은 휴대 모드 CPU : 1020Mhz(고정) GPU : 307Mhz or 384Mhz or 460Mhz (게임마다 다름) RAM : 1331Mhz(고정) 독모드 CPU : 1020Mhz - 일정게임 로딩 화면 에..

닌텐도 스위치 활용법 중 안드로이드 설치법이 있다. 스위치는 테그라X1 AP가 사용되어 NVIDIA의 쉴드TV과 같은 칩셋을 사용중이다. 그래서 해외에서 쉴드TV를 기반으로해서 안드로이드를 포팅하는데 도전 해왔고 예전에는 안드로이드 8.0 버전으로 버그도 많았고, 조이콘이작동하지않는다거나 하는 많은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번에 안드로이드10 버전이 포팅되는데 성공했고 많은 버그들이 수정되었다. 물론 정식 버전이아니니 예기치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도 있으니 이 점은 인지해두고 진행 하길 바란다. 참고로 필자는 스위치 기기 개조로 인핸 A/S및 기기벤, 인터넷플레이 등은 어차피 하지않는다고 생각하고 이것저것 진행 하는 것 임을 알아주길 바란다. 괜한 호기심에 해볼까.. 하는마음에 기기벤 or..

스위치 에 KEFIR를 설치하면 DBI Installer 라는 홈브류가 설치되어있는데 화려한 ui를 가진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기본이 충실한 프로그램이다. 1.DBI USB 게임설치 스위치 홈브류에 들어가면 DBI installer가 있는데 실행해주고 OTG를 이용 하던지 TYPE-C로 된 USB나 USB하드 최상단에 게임롬을 넣어주고 스위치에 연결해 준다. 혹은 독에 연결하고 독에 usb를 연결해준다. 그럼 기존 (좌) 에서 (우) 처럼 USB0 DRIVR 선택이 나타난다 이걸 선택하면 연결된 USB안 파일들이 보인다. 롬을 선택하고 A키를 눌러주면 설치 옵션이 나오고 NAND에 설치할지 SD카드에 설치할지 선택 설치후 롬파일을 지울지 말지 선택 화면을 끄고 설치할지 선택 3가지를 선택한뒤..